자연수: 0이 아닌, 자연적으로 사람이 셀 수 있는 수

수학에서 자연수(自然數, 영어: natural number)는 수를 셀 때나 순서를 매길 때 사용되는 수다. 양의 정수(陽-整數, 영어: positive integer) 1, 2, 3, ...로 정의되거나, 음이 아닌 정수(陰-整數, 영어: non-negative integer) 0, 1, 2, 3, ...로 정의된다. 범자연수(汎自然數, 문화어: 옹근수(-數), 완수(完數), 영어: whole number)라는 용어는 첫째 정의를 택할 경우에 음이 아닌 정수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며, 이에 대응하는 문화어와 영어는 둘째 정의를 택할 경우에 정수를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자연수의 집합은 대문자 N을 써서 표기하며, 보통 칠판 볼드체 ℕ를 사용한다.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약수 관계나 소수 분포를 비롯한 자연수의 성질들은 수론의 연구 대상이며, 분할이나 계수를 비롯한 자연수의 문제들은 조합론의 연구 대상이다. 자연수는 많은 연산에 대하여 닫혀있지 않다. 정수는 자연수를 뺄셈에 대하여 닫혀있도록 확장하여 얻는 수 체계이며, 유리수는 자연수를 추가로 나눗셈에 대하여 닫혀있도록 확장한 수 체계이다. 실수는 추가로 코시 수열극한에 대하여 닫혀있도록 확장한 것이며, 복소수는 추가로 다항식의 근에 대하여 닫혀있도록 확장한 것이다. 하나하나가 유한하지만, 무한 집합을 이룬다. 자연수의 집합은 "가장 작은 크기"의 무한 집합이며, 자연수와 크기가 같은 집합을 가산 무한 집합이라고 한다.

자연수가 만족시켜야 하는 일련의 공리들을 제시하여 자연수를 일종의 무정의 개념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연수의 공리들이 이루는 체계 가운데 가장 자주 사용되는 하나는 페아노 공리계이다. 수리논리학에서 이는 자연수의 이론에 해당된다. 자연수를 특별한 집합으로서 간주하여 다룰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보통 자연수의 집합은 최소 재귀 집합으로 정의된다. 수리논리학에서 이는 자연수의 모형에 해당된다.

자연수의 수를 세는 역할을 일반화하면 기수의 개념을 얻으며, 자연수의 순서를 매기는 기능을 일반화하면 순서수의 개념을 얻는다. 자연수의 집합의 대수적 성질을 일반화하면 반환의 개념을 얻는다. 특히 자연수는 많은 스포츠 점수 같은 경기나 게임에 사용될수 있으며 우리가 가장 흔히 보는 수로도 볼 수 있다.

정의

공리적 정의 (페아노 공리계)

가장 통용되는 자연수 이론인 페아노 공리계는 상수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및 함수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에 대한 다음과 같은 공리들로 이루어진 2차 논리 이론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이다.

  • 임의의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에 대하여,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단사 함수) 임의의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에 대하여,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이면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 (수학적 귀납법) 임의의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에 대하여,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이며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이면,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이 공리들 가운데 2차 논리 공식은 셋째 공리뿐이다. 이 셋째 공리를 1차 논리 공리꼴로 대신하면, 페아노 산술을 얻으며, 이는 보다 더 약한 공리계이다.

집합론적 정의 (폰 노이만)

자연수 이론의 한 가지 모형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에서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이 경우, 각 자연수는 그보다 작은 자연수들의 집합이다. 예를 들어, 처음 몇 자연수는 다음과 같다.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집합론적 정의 (프레게와 러셀)

고유 모임이 허용되는 집합론의 경우, 자연수를 유한 집합대등 관계에 대한 동치류로서 정의할 수 있다. 즉, 각 자연수는 그 자연수를 원소 개수로 하는 집합들의 모임이다. 즉, 이는 다음과 같다.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고유 모임을 사용하므로, 분류 공리꼴을 만족시키는 집합론에서 사용할 수 없다.

성질

자연수의 집합은 가환 순서 반환을 이룬다.

수학적 귀납법

자연수의 집합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의 정의에 따라, 수학적 귀납법이 성립한다. 즉, 다음과 같은 꼴의 명제를 수학적 귀납법을 통해 증명할 수 있다.

  • 임의의 자연수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에 대하여,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은 성질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를 만족시킨다.

여기서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는 주어진 성질이며, 자연수 부분 집합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 명제를 증명하려면 다음 두 가지를 증명하기만 하면 된다.

  •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 즉, 0은 이 성질을 만족시킨다.
  • 만약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라면,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 즉, 어떤 자연수가 이 성질을 만족시키면, 뒤따르는 자연수도 이를 만족시킨다.

자연수의 집합 위의 초한 귀납법에 따르면, 다음 한 가지를 증명하는 것으로 대신할 수도 있다.

  • 만약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라면,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 즉, 어떤 자연수보다 작은 자연수가 모두 이 성질을 만족시키면, 그 자연수 역시 이를 만족시킨다.

특히,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인 경우 이 조건이 뜻하는 바는 단순히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인데, 이는 이 조건의 전제가 항상 참이기 때문이다.

자연수의 집합 위의 초한 재귀 정리에 따르면, 수열점화식을 통해 정의할 수 있다. 즉, 집합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에서 값을 취하는 수열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은, 그 일반항을 통하지 않고서도, 다음과 같은 점화식을 줌으로써 정의할 수 있다.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여기서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에서 값을 취하는 각 유한 수열에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의 원소를 대응시키는 함수이다. 특히, 이 점화식에서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인 경우, 이 점화식이 뜻하는 바는 공(空)수열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의 함숫값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을 첫항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으로 정의하는 식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이다.

무한 강하법

자연수의 집합은 정렬 집합이다. 즉, 공집합이 아닌 자연수 부분 집합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은 항상 최소 원소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를 갖는다.

증명:

귀류법을 사용하여,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가 최소 원소를 갖지 않는다고 가정하자. 이제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임을 강한 수학적 귀납법을 통해 증명하자. 만약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라면,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이다. 그렇지 않다면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이므로 모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이며, 이는 모순이다.

자연수의 집합 위에서 무한 강하법이 성립한다. 즉, 자연수의 감소 무한 수열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위에서 증명한 자연수의 정렬성을 통해 엄밀하게 증명할 수 있다. 즉, 만약 자연수의 감소 무한 수열이 존재한다면, 그 수열의 항들의 집합은 자연수의 부분 집합인데, 이는 공집합이 아니면서 최소 원소를 갖지도 않으므로 모순이다. 무한 강하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꼴의 명제를 증명할 수 있다.

  • 성질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를 증명하려면 다음 한 가지를 증명하기만 하면 된다.

  • 만약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라면,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인 자연수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가 존재한다.

집합론적 성질

자연수의 집합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무한 집합이다. 자연수의 집합의 크기알레프 0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으로 정의하며, 이는 최소 무한 기수이다. 즉, 임의의 무한 집합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에 대하여,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인 부분 집합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가 존재한다. 자연수의 집합과 크기가 같은 집합(=전단사 함수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가 존재하는 집합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을 가산 무한 집합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유리수의 집합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는 가산 무한 집합이며, 실수의 집합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는 비(非)가산 무한 집합이다.

수론적 성질

자연수에 대한 곱셈식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이 성립할 때,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약수라고 하며, 반대로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배수라고 한다. 0은 모든 자연수를 약수로 가지며, 0의 배수는 0뿐이다. 그러나, 양의 정수의 경우만을 생각하기도 한다. 항등식 자연수: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에 따라, 자연수는 항상 1과 자기 자신을 약수로 가지는데, 약수가 이들뿐인 자연수를 소수라고 하며, 그렇지 않은 자연수를 합성수라고 한다. 다만, 0과 1은 소수도 합성수도 아니라고 정의한다. 산술의 기본 정리에 따르면, 모든 합성수는 유한 개의 소수들의 곱으로 표현 가능하며, 이러한 표현은 소수들을 곱하는 순서를 무시하면 유일하다.

같이 보기

참고 문헌

외부 링크

Tags:

자연수 정의자연수 성질자연수 같이 보기자연수 참고 문헌자연수 외부 링크자연수

🔥 Trending searches on Wiki 한국어:

인터넷박진주가운뎃점디카페인가상 현실강허달림보스턴 교살자제곱킬로미터이스라엘김성주 (방송인)베트남고민정매슬로의 욕구단계설올림포스 12신유상범 (1966년)아이스킬로스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장동윤심소영 (배우)유관순KS X 1001의 특수 문자미국의 소리촉법소년6.25 전쟁김민석 (정치인)탄소 중립마동석유전율대한민국의 대통령 목록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이승만편미분윤석열경주 이씨카드 번호의 구성리엘함부로 약속에펠탑이재용오일러 공식진 시황제문제 해결카지노 (드라마)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애플가스라이팅캄보디아헬륨리튬나무위키정인이 사건일베저장소버닝썬 게이트청춘월담그람 염색송혜교김성관 (범죄인)C++오스트레일리아아세트산최경용KBS 1TV더 쇼ASCII자바 (프로그래밍 언어)별이 빛나는 밤용해도이기제서준영구준엽오인혜6월 2일신당역 살인 사건LE SSERAFIM국제 기념일시미켄개구리 소년 사건🡆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