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어: 대만의 언어

대만어(중국어 정체자: 臺灣話/台灣話, 백화자: Tâi-oân-ōe, 타이뤄: Tâi-uân-uē, 한어 병음: Táiwānhuà)는 대만에 가장 널리 쓰이는, 민난어에서 파생된 방언이다. 줄여서 대어(중국어 정체자: 臺語, 백화자: Tâi-gí/Tâi-gú, 타이뤄: Tâi-gí/Tâi-gú, 한어 병음: Táiyǔ)라고도 부른다.

대만어
臺灣語/臺語/Tâi-gí/Tâi-gú(IPA: [tai˧˧ ɡi˥˩]/[tai˩˩ ɡu˥˩])
사용 국가 중화민국의 기 중화민국
언어 인구 1500만여 명
순위 21위 이하
언어 계통 중국티베트어족
 중국어
  민어
   민난어
    대만어
공용어 및 표준
공용어로 쓰는 나라 대만
언어 부호
ISO 639-3 nan 대만어
대만어: 역사, 기타 명칭, 쓰임새

역사

대만어: 역사, 기타 명칭, 쓰임새 
대만어로 쓰여진 가자책(歌仔冊) (kua-á-tsheh).

청나라 시기에 해금이 되어 중국 대륙에서 대만으로 건너온 이들의 대부분이 민난 지방에서 도래하였기 때문에, 민난어대만인의 제어를 대신하여 대만의 지배적인 언어가 되었다. 일본 제국대만일치시기(1895-1945)에는 일본어가, 국민당의 대만 지배시기(1945-2000)에는 각각 표준 중국어가 공식 언어였기 때문에 대만어는 공식어로서의 지위를 누리지 못했다. 그렇지만 대만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아직도 많이 남아 있는 편이다. 2009년 중화민국 정부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대만 민중의 80%가 대만어를 사용할 줄 아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타 명칭

대만어: 역사, 기타 명칭, 쓰임새 
《일대대사전》(日臺大辭典) 샤먼어를 기준으로 대만어 가나를 이용해 표기
  • 중화권에서는 대어(臺語) 혹은 대만화(臺灣話)라는 명칭이 일반적으로 쓰인다.
    • 다른 한편으로, '대만화'라는 명칭은 단순히 대만의 민난어만이 아닌 대만에서 사용되는 각 중국어 방언 및 원주민 제어를 포괄하는 광의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 Ho̍h-ló-uē: 하카인들은 일찍이 민난인들을 Ho̍h-ló라고 불렀으며, 민남인들의 언어도 Ho̍h-ló-ue̍(Ho̍h-ló話)라고 불러왔다.
  • 대만민남어(臺灣閩南語): 대만섬과 민난에서의 민난어의 용어 혼동을 피하기 위해 부르는 명칭으로, 중화민국 교육부, 교육부 국어추행위원회 및 전국어문경새가 채용하는 이름이다. 기타 유사한 이름으로서는 대민어(臺閩語), 복대어(福臺語), 푸젠어(福建語) 등이 있다.

쓰임새

대만에서 대중교통의 방송에서 대만어를 들을 수 있으며, 정치인들은 민심을 얻기 위해 대만어로 연설한다.

음운

대만어는 성조언어로, 다른 중국어 언어들보다 성조 변화가 광범위하고 심하다.

자음

성모
양순음 치경음 치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
비음 [m] m
[n] n
[ŋ] ng
파열음 무기음 [p]
p
[b]
b
[t]
t
[k]
k
[ɡ]
g
유기음 [pʰ] ph
[tʰ] th
[kʰ] kh
파찰음 무기음 [ʦ]
ts
[ʣ]
j
[ʨ]
ts(i)
[ʥ]
j(i)
유기음 [ʦʰ] tsh
[ʨʰ] tsh(i)
마찰음 [s] s
[ɕ] s(i)
[h] h
설측음 [l] l
운모
양순음 치경음 연구개음 후음
비음 [m]
-m
[n]
-n
[ŋ]
-ng
[◌̃]
-nn
불파음 [p̚]
-p ㆴ
[t̚]
-t ㆵ
[k̚]
-k ㆶ
[ʔ]
-h ㆷ

모음

운모
전설 중설 후설 성절 자음
비모음 비모음 비모음
고모음 [i]
i ㄧ
[ĩ]
inn ㆪ
[u]
u ㄨ
[ũ]
unn ㆫ
[m̩]
m ㆬ
[ŋ̍]
ng ㆭ
중모음 [ɛ]
e ㆤ
[ɛ̃]
enn ㆥ
[o]/[ə]
o ㄛ/ㄜ
[ɔ]
oo ㆦ
[ɔ̃]
onn ㆧ
저모음 [a]
a ㄚ
[ã]
ann ㆩ
  1. o를 남부(타이난, 가오슝 등)에서는 [ə]로 발음한다.

성조

대만어는 7-8개의 성조가 있다.

대만어 성조
성조 번호 이름 대만 민난어 로마자 병음 방안 표기법
1 음평 (陰平) a
2 음상 (陰上) á
3 음거 (陰去) à
4 음입 (陰入) ah
5 양평 (陽平) â
6 양상 (陽上) ǎ
7 양거 (陽去) ā
8 양입 (陽入) a̍h

어휘

근년의 언어연구에 의하면(by Robert L. Cheng and Chin-An Li, for example), 약간의 예외(약 10% - 25%)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대만어의 낱말은 다른 중국어방언동계어라고 하고 있다. 반면에 동계어인지 아닌지 잘 알 수 없는 한자형태소에 의한 어구성이라고 확실히 판정할 수 없는 것도 존재한다. 예를 들면, 유명한 것으로 tshit-thô→놀러 가다가 있다. 그 중의 몇 가지는 최근 남방의 중국어족의 주변언어그룹인 따이까다이어족, 먀오야오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등과의 대조연구가 진행되며, 그러한 비한어계 언어의 잔존이다라고 하는 지적도 되고 있다. 이러한 한어기원이 아닌 語를 굳이 한자로 표기하는 경우는, 의미나 발음이 같은 한자로 나타내서 표기하거나 일본에서 국자같이 새롭게 창작한 독자적인 한자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근년의 대만어 문자운동에서는 분명한 한자부분은 한자로, 그렇지 않는 것은 로마자로 혼합표기한 한라(漢羅)라고 하는 표기방법이 제창되어, 몇 가지 출판물도 나오고 있다.

핑보족 언어에서 유래된 어휘

말레이어 유래의 어휘

대만어 한국어 말레이어 국어
(대만 화어)
se-kok-bí 서양쌀 sago 西谷米(xīgǔmǐ)
pin-nn̂g 빈랑 pinang 檳榔(bīnláng)

일본어 유래의 어휘

또한, 대만어의 어휘에는 일제 시대에 유입한 일본어 기원의 어휘가 몇 개 있으며 푸젠성민난어와는 다르게, 일본어계 어휘를 다수 받아들인 것이 특징으로, 중화민국 교육부가 대만어 상용사전에서 수록하고 있는 외래어는 총 172건이다. 예를 들면 아저씨를 의미하는 oo-jí-sáng은 일본어: おじさん에서 유래되었다. 하지만 일본어와 달리 경멸의 뉘앙스는 적다. 쇼와 전기에 쓰인 일본어: おじさん은 단지 중년남성을 가리키는 단어였으며, 그것이 그대로 대만에 들여온 것에 비해, 헤이세이 시대에 쓰인 일본어: おじさん은 의미가 변화해서 경멸적인 뜻을 포함하게 되었기 때문에, 양자의 의미가 빗나가 버린 것이다. 아줌마를 의미하는 oo-bá-sáng은 일본어: おばさん에서 유래되었으며, oo-bá-sáng도 마찬가지이지만, 이 낱말은 대만에서는 가정부적인 의미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메이지 시대에 일본인 가정에서 가정부를 おばさん이라고 부른 것에서 시작을 시작되었다고 추정된다.

대만어로 발음하는 어휘

대만어 백화자 한국어 의미 유래한 일본어 국어
(대만 화어)
비고
便當 piān-tong 도시락 弁当 便當
口座 kháu-chō 계좌 口座 帳戶 주로 대만 중부와 남부에서 사용되며, 북부에서는 戶頭가 사용된다.
出張 chhut-tiuⁿ/chhut-tioⁿ 출장 出張 出差 주로 중년세대가 사용. 젊은 세대는 出差을 사용한다.
手形 chhiú-hêng 어음 手形 支票 주로 대만 중부와 남부에서 사용되며, 북부에서는 支票가 사용된다.
注文 chù-bûn 주문 注文 訂購
寄付 kià-hù 기부 寄付 捐獻
案內 àn-nāi 안내 案内 指南
水道 chúi-tō 수도 水道 水管
放送 hòng-sàng 방송 放送 廣播
郵便 iû-piān 우편 郵便 郵件
便所 piān-só͘ 변소 便所 廁所
病院 pēⁿ-īⁿ/pīⁿ-īⁿ 병원 病院 醫院
注射 chù-siā 주사 注射 打針
同窗 tông-chhong 동창 同窓 同學
見本 kiàn-pún 견본 見本 樣品
人氣 jîn-khì/lîn-khì/gîn-khì 인기 人気 人氣
飛行機 hoe-lêng-ki/hui-lêng-ki/poe-lêng-ki 비행기 飛行機 飛機
自轉車 chū-choán-chhia 자전거 自転車 自行車

일본어 그대로 발음하는 어휘

대만어 한국어 의미 국어
(대만 화어)
비고
no-li 海苔
mi-so 된장 味噌
su-si 초밥 壽司
o-lian  어묵 關東煮
wa-sa-bi 고추냉이 山葵
sa-si-mi  生魚片
tha-kho 문어 章魚
khang-pang  간판 招牌
bang-gah  만화 卡通漫畫
nin-jin 당근 胡蘿蔔
to-sang 아버지 父親 대만에서는 전쟁 전에 일본 교육을 받은 세대를 to-sang世代라고 한다.
kha-sang  어머니 母親
ni-sang , 오빠
ah-ni-khi 형님 老大
ne-sang 언니, 누나
o-ji-sang  아저씨 老先生
o-ba-sang  아줌마 老太太
sang  ~씨,~선생 先生
un-chiang  운전수 司機 일본어와는 달리 경멸의 뉘앙스는 적다.
se-bi-ro 신사복 西裝
kha-bang 가방 皮包
me-si 명함 名片
tha-tha-mi  다다미 疊蓆
hi-noo-khih 노송나무 檜木
khiu-khe 휴식 休息
ai-sa-tsu 인사 打招呼
o-en 응원 捧場
hahn-kou 반항 還手
ki-mo-chi  기분 心情(情緒,感覺)
si-a-ge 마무리, 완성 整修
kan-so 건조 乾燥
sang-so 산소 氧氣
a-sa-li  깨끗이, 간단히 (做事)乾脆、俐落大方

기타 외국어의 어원이 일본어를 거쳐서 전해진 외래어

대만어 한국어 의미 국어
(대만 화어)
어원
thian-puh-la  튀김 天婦羅 포르투갈어: tempero
sa-vi-su  서비스 服務 영어: service
ho-su 호스 水管 영어: hose가 유래된 것이지만, 어원은 네덜란드어: hoos이다.
ga-su 가스 瓦斯 네덜란드어: gas
phang 麵包 포르투갈어: pão
san-to-it-chih 샌드위치 三明治 영어: sandwich
khu-li-mu 크림 鮮奶油 영어: cream
ba-ta 버터 奶油 영어: butter
tho-ma-to 토마토 番茄 영어: tomato
khe-chhah-phu 케첩 番茄醬 영어: ketchup이 유래된 것이지만, 어원은 민난어: 鮭汁 kechiap、koechiap이다.
bi-lu 맥주 啤酒 네덜란드어: bier
tsioo-koo-le-too 초콜릿 巧克力 영어: chocolate
o-to-bai 모터사이클 機車 일본어식 영어 auto bike
tho-la-ku 트럭 卡車 영어: truck
han-tho-lu 핸들 機車(腳踏車)[모호한 표현] 영어: handle
en-jin 엔진 引擎 영어: engine
tai-ya 타이어 輪胎 영어: tire
lo-lai-ba 드라이버 螺絲起子 영어: driver ←screwdriver
phian-jih 펜치 鉗子 영어: pinch →끼우다
khong-ku-li 콘크리트 混凝土 영어: concrete
thài-luh 타일 瓷磚 영어: tile
sia-chu 셔츠 襯衫 영어: shirt
ne-ku-tai 넥타이 領帶 영어: necktie
su-li-pa 슬리퍼 拖鞋 영어: slipper
the-ni-su 테니스 網球 영어: tennis
kha-tian 커튼 窗簾 영어: curtain
ho-the-lu 호텔 旅館 영어: hotel
gi-ta 기타 吉他 영어: guitar
pi-a-no 피아노 鋼琴 영어: piano
ka-me-la 카메라 相機 영어: camera
la-ji-o 라디오 收音機 영어: radio
lai-ta 라이터 打火機 영어: lighter
sai-su 사이즈 尺寸 영어: size
kòng-ku  스컹크 落空 영어: skunk

문자체계

대만어: 역사, 기타 명칭, 쓰임새 
대만어로 쓰인 문학작품. 로마자와 한자, 그리고 이 둘의 혼용표기법인 한라(漢羅) 등 다양한 표기법으로 적혀있다.

광동어와는 다르게, 대만어는 그다지 독자적인 문자체계를 발달시키지 못했으며, 대만어로 쓰인 활자물도 희귀하다.

한자표기

한자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만 전통극인 가자희(歌仔戲)의 대사는 한자로 표기된다. 2007년 교육부에서는 대만어의 공식한자표기법을 발표, 이를 교육과정에 도입하기로 하였다.

백화자

19세기 중반에 기독교 선교자들이 대만어 로마자 표기법을 만들어냈다. 이 로마자를 구어(백화, 白話)를 표기하는 글이라는 뜻으로 백화자(白話字 Pe̍h-ōe-jī)라 부르는데, 백화자로 쓰인 문헌이 더 풍부하며, 1999년의 예상에 따르면 백화자를 읽을 줄 아는 인구는 10만명 정도로 추산된다. 반면, 한자와 백화자를 섞은 표기법도 현대에 유행하고 있는데, 이를 흔히 한라(漢羅 Hàn-lô)라 일컫는다. 민난어 위키백과는 백화자로 쓰여있으나, 간혹 토론란에서 한자로 적힌 버전을 읽을 수 있는 문서도 있다.

주음부호

1946년 타이완성 국어추행위원회에 의해 대만어와 대만 하카어를 표기하기 위한 확장 주음부호가 고안되었다.

한글 표기법

1987년 대만의 언어학자인 Xu Caode에 의해 만들어졌다.

가나 표기법

대만일치시기에 일본어의 문자인 가나를 개량한 대만어 가나(臺灣語假名)라는 표기법이 고안되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사멸했다.

각주

Tags:

대만어 역사대만어 기타 명칭대만어 쓰임새대만어 음운대만어 어휘대만어 문자체계대만어 각주대만어

🔥 Trending searches on Wiki 한국어:

네덜란드해바라기DSM-5염유리채은정아웃포스트 (2020년 영화)한국의 지진손흥민아미노산대한민국일제강점기레임덕신세경문재인유관순명량 해전유월절서승만전봉준이종민 (2001년)다이묘윤동주이미숙HD현대마린솔루션앙투안 라부아지에판 구조론연합뉴스수사반장불국사네이버 (기업)최영이상해박성훈 (배우)수사반장 1958이창섭 (가수)제72보병사단경주 김씨카카오톡파묘 (2024년 영화)한나라MBK 파트너스다음임성근 (군인)네온대한민국의 인구순 도시 목록김무열광명진언발칸반도김남국대구광역시아르기닌하마스대한민국의 대통령STP 마케팅지구 온난화김보협대한민국의 대통령 목록캐나다대한민국의 영화 흥행 기록태양계서울특별시중국포스파티딜세린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핵무기 보유국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윌리엄 셰익스피어히라가나옴의 법칙몰디브쇼와의 날이산화 탄소유효숫자김건희명성황후자폐 스펙트럼조국혁신당스시🡆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