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음성 기호

국제 음성 기호(國際音聲記號, 영어: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PA) 또는 만국 음성 기호(萬國音聲記號)는 언어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음성 기록 체계를 말한다. 현존하는 모든 언어의 소리를 독자적이고 정확하면서 표준적인 방법으로 표시하기 위해 이 기호 체계가 고안되었으며, 언어학자 외에도 언어장애 병리사나 발성 치료사, 외국어 교수자, 말뭉치 연구자, 번역가 등이 일상생활에서 이 기호체계를 활용하고 있다.

국제 음성 기호 (IPA)
국제 음성 기호
유형 음소 문자
사용 시기 1888년~현재
계통 로마자
 음표 문자
  국제 음성 기호 (IPA)


국제 음성 기호
국제 음성 기호 (2020년 개정)
국제 음성 기호
국제 음성 기호 (2019년 개정) 한국어판 (신지영 번역)

국제 음성 기호의 기호는 크게 (기본) 문자, 구별기호, 초분절요소 등의 3가지 종류로 나뉜다. 이들은 또 다시 세부적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기본 문자의 경우 모음자음으로 나눌 수 있다. 음성을 표시하는 방법에서 표준화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기 때문에 이러한 기호들은 크게 바뀌지는 않으나 이를 관할하는 국제 음성 협회에 의해 기호가 덧붙여지거나 빠지거나 수정되기도 한다. 2005년에 확장된 후 거의 변하지 않은 지금의 형태는 107개의 기본 문자와 52개의 구별기호, 4개의 초분절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국제 음성 기호는 주로 언어 발화 행위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현상(의 위치나 조음 방법, 단어음절 분절 등)만을 표현할 수 있게끔 되어 있지만, 국제 음성 기호 확장형을 통해서 의미와는 무관한 발화 현상(이갈기, 혀짧은 소리 등)도 기록할 수 있게끔 되어 있다.

이러한 국제 음성 기호는 유니코드 문자 U+0250~02AD를 통해 표현할 수 있다.

변천 과정

1886년프랑스언어학자 폴 파시를 중심으로 한 일련의 프랑스어영어 교사들이 국제 음성 협회를 조직하면서 오늘날 국제 음성 기호라고 부르는 이 기호체계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단체가 설립되고 나서 2년 후 국제 음성 협회는 국제 음성 기호의 첫 공식판을 발간했는데, 이 첫 공식판은 헨리 스위트가 고안한 로믹 문자에 기반하여 만든 것이었다. 참고로 이 로믹 문자 또한 아주 독창적인 것은 아니며 아이작 피트만과 알렉산더 존 엘리스 등이 만든 포노타입 문자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이었다. 이 첫 공식판은 국제 음성 기호의 기본적인 자음모음 기호 체계를 잡았으며 이후로 자음과 모음 기호 체계는 대체적으로 이 첫 공식판과 같은 형태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개별 문자 자체에는 몇 차례의 수정이 이루어졌다. 1989년 킬 총회에서 몇 가지 수정이 있었고(1932년 이전판 참고), 1993년에도 중설 비원순 중저모음 [ɜ] 추가와 무성 내파음 기호 폐지와 같은 몇 가지 사소한 수정이 있었다. 비교적 최근인 2005년 5월에는 순치 탄음과 같은 기호가 추가되었다.

이러한 개별 기호의 추가나 폐지와는 별개로 기호 명칭이나 분류 방법, 문자체 등의 변경도 있었다. 2016년에는 r-음화 기호인 ⟨ə˞⟩이 ⟨ɚ⟩로 바뀌었고, 상승하강조 기호가 ⟨˦˥˦⟩ (4-5-4)에서 ⟨˧˦˧⟩ (3-4-3)으로 바뀌었다. 2018년에는 상승하강조 기호가 ⟨˧˦˨⟩ (3-4-2)로 다시 고쳐졌다.

국제 음성 기호의 확장형은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진 것으로 1991년에 처음 만들어져서 1997년에 수정, 보완되었다. 또한 1995년에는 발성 방법에 대해 보다 자세히 기술하기 위해 VoQS (음성 성질 기호, Voice Quality Symbols)가 제안되었다.

쓰임

국제 음성 기호는 언어학자들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기호의 경우는 연구 분야 등에 따라서 표준 기호가 아닌 기호로 대체하여 쓰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예는 미국계 언어학자들이 ʃ 대신 š를, j 대신 y를 쓰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국제 음성 기호는 사전 편찬에 널리 쓰이고 있으나, 일부 국가/언어의 경우 IPA가 아닌 여러 가지 음성기호체계가 통일되지 않은 채 통용되는 경우도 있다.

문자

닿소리

조음 위치 입술(순음) 혀, 이(설음, 치음) 어금니(아음) 후음
조음 방법 양순 순치 치경 후치경 치경구개 권설 경구개 연구개 구개수 인두 후두개 성문
폐 기류  
비음    m    ɱ    n    *ȵ    ɳ    ɲ    ŋ    ɴ  
파열음 p  b t  d *ȶ  *ȡ ʈ  ɖ c  ɟ k  ɡ q  ɢ   ʡ   ʔ
마찰음 ɸ  β f  v θ  ð s  z ʃ  ʒ ɕ  ʑ ʂ  ʐ ç  ʝ x  ɣ χ ʁ ħ ʕ ʜ ʢ h ɦ
접근음    ʋ    ɹ    ɻ    j    ɰ
전동음    ʙ    r    ʀ  
탄음    ѵ    ɾ    ɽ      
설측 마찰음 ɬ  ɮ ɬ̢  ɮ̢    
설측 접근음 l    *ȴ    ɭ    ʎ    ʟ  
설측 탄음      ɺ            
폐외 기류  
내파음 ɓ̥  ɓ ɗ̥  ɗ ʄ̊  ʄ ɠ̊  ɠ ʛ̥  ʛ  
흡착음 ʘ     ǀ     ǃ     ǂ      
설측흡착음   ǁ      
  • 쌍으로 있는 기호의 경우 왼쪽이 무성음, 오른쪽이 유성음이다. 단 반기식음 h, ɦ는 예외다.
  • 어두운 부분은 조음이 불가능한 곳이다.
  • 빈 칸으로 남겨둔 곳은 그에 맞는 기호가 없는 경우다.
  • 별표가 붙어 있는 곳은 비공식 기호인 경우다.
  • 순치 탄음의 기호는 유니코드 5.1에 추가된 관계로 표시가 안 될 수도 있다. 순치 탄음의 공식 기호는 오른쪽에 고리가 달린 소문자 v 모양이다.
  • 무성 권설 설측 마찰음의 기호는 유니코드 6.0에 추가된 관계로 표시가 안 될 수도 있다. 공식 기호는 ɭ에 벨트가 달린 형태다.

홀소리

전설 근전설 중설 근후설 후설
고모음
국제 음성 기호 
 i • y 
 ɨ • ʉ 
 ɯ • u 
 ɪ • ʏ 
 ʊ 
 e • ø 
 ɘ • ɵ 
 ɤ • o 
 ə 
 ɛ • œ 
 ɜ • ɞ 
 ʌ • ɔ 
 æ 
 ɐ 
 a • ɶ 
 ɑ • ɒ 
근고모음
중고모음
중모음
중저모음
근저모음
저모음

쌍으로 있는 기호의 경우 왼쪽이 비원순 모음, 오른쪽이 원순 모음이다.

이중조음

ʍ 무성 양순 연구개 접근음
w 유성 양순 연구개 접근음
ɥ̊ 무성 양순 경구개 접근음
ɥ 유성 양순 경구개 접근음
ɧ 무성 치조후 연구개 마찰음 (ʃ과 x을 동시에 조음)

필요하면 파찰음 및 이중조음은 두 가지 기호를 연결선으로 연결해서 나타낼 수 있다. 대표적인 6개의 파찰음은 합자로도 제공되나 국제 음성 협회에서는 이를 권장하지 않는다:

합자 연결선 이름
ʦ t͡s 무성 치조 파찰음
ʧ t͡ʃ 무성 치조후 파찰음
ʨ t͡ɕ 무성 치조구개 파찰음
ʣ d͡z 유성 치조 파찰음
ʤ d͡ʒ 유성 치조후 파찰음
ʥ d͡ʑ 유성 치조구개 파찰음
 – t͡ɬ 무성 치조 설측 파찰음
 – d͡ɮ 유성 치조 설측 파찰음
 – k͡p 무성 양순 연구개 파열음
 – ɡ͡b 유성 양순 연구개 파열음
 – ŋ͡m 양순 연구개 비음
  • Arial Unicode MS 폰트 사용자의 경우, 폰트의 버그 때문에 다음의 잘못된 조합이 더 잘 보일 것이다. ts͡  tʃ͡  tɕ͡  dz͡  dʒ͡  dʑ͡  tɬ͡  dɮ͡  kp͡  ɡb͡  ŋm͡.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오픈 타입 폰트인 Segoe UI를 설치하면 된다.

초분절자질

ˈ 제1 강세
ˌ 제2 강세
ː
ˑ 반장음
˘ 특별히 짧은
. 음절 경계
| 작은 그룹 (foot)
큰 그룹 (억양)
연결 (경계 없음)

성조악센트

e̋ 또는 ˥ 특별히 높은
é 또는 ˦ 높은
ē 또는 ˧ 중간
è 또는 ˨ 낮은
ȅ 또는 ˩ 특별히 낮은
ě 올라간다
ê 내려간다
e 다운스텝
e 업스텝
전체적인 상승
전체적인 하강

성조 변화 기호를 조합하여 더 세부적인 표현을 할 수 있지만, 이를 지원하는 폰트는 많지 않다.

발음 구별 기호

하행문자가 있는 글자의 경우는 발음 구별 기호를 위에 적을 수 있다. 예: ŋ̊

n̥ d̥ 무성음화(Voiceless) b̤ a̤ 기식음 t̪ d̪ 치음
s̬ t̬ 유성음화(Voiced) b̰ a̰ 반기식음화 t̺ d̺ 설첨음화(Apical)
tʰ dʰ 유기음화(Aspirated) t̼ d̼ 설순음화(Linguolabial) t̻ d̻ 설단음화(Laminal)
ɔ̹ 원순화(More rounded) tʷ dʷ 순음화(Labialized) 비음화(Nasalized)
ɔ̜ 평순화(Less rounded) tʲ dʲ 경구개음화(Palatalized) dⁿ 비음 방출(Nasal release)
전설화(Advanced) tˠ dˠ 연구개음화(Velarized) 측음 방출(Lateral release)
후설화(Retracted) tˁ dˁ 인두음화(Pharyngealized) 불파음(No audible release)
ë 중설 음화(Centralized) 인두음화(Velarized or pharyngealized)
중설 중모음화(Mid-centralized) 고모음화 (ɹ̝ = 치경 마찰음)
ɹ̩ 성절음화(Syllabic) 저모음화 (β̞ = 양순음 접근음) 방출음
비성절음화(Non-syllabic) 전설 모음
ɚ 치경 접근음 수반 후설 모음
입술을 더 벌려서 경음 비음성 감소(코로 공기가 덜 빠져나가게 한다.)
치순음 연음 비음화 (코로 공기가 더 많이 빠져나가게 한다)
n̪͆    h̪͆ 치간/관절 위쪽과 아래쪽의 양쪽에 치아 p\p\p 반복 조음 구개 범인두 폐쇄
치경음 휘파람을 불고 조음 p↓ 흡기
설순음화 s͢θ 슬라이딩 조음(s에서 θ로 발음하라는 의미) !↑ 호기

비공식 기호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Tags:

국제 음성 기호 변천 과정국제 음성 기호 쓰임국제 음성 기호 문자국제 음성 기호 초분절자질국제 음성 기호 성조와 악센트국제 음성 기호 발음 구별 기호국제 음성 기호 비공식 기호국제 음성 기호 같이 보기국제 음성 기호 각주국제 음성 기호 외부 링크국제 음성 기호

🔥 Trending searches on Wiki 한국어:

더불어민주당일본어파이썬이범호더 우먼 킹원정 다득점 원칙디스코드 (소프트웨어)온달 왕자들김동완 (가수)이란최선정 (배우)원소 목록한국광명진언제4차 산업혁명유영하경상북도범죄도시2쏘스뮤직선감도이승엽태국김호정 (1939년)캐나다염증한국사 연표정해인미국의 대통령 목록KS X 1001의 특수 문자싱가포르볼츠만 상수DPR 이안더스틴 니퍼트이완용구리STP 마케팅김어준함부로 대해줘 (드라마)로마 숫자말레이시아김두한이상원 (배우)팔레스타인유영재온조왕음양오행설회귀 분석오사마 빈라덴의 죽음창덕궁고구려케이오지 엔터테인먼트제주특별자치도AFC 챔피언스리그박지영 (1969년)진나라눈물의 여왕9·11 테러문경찬홍준표리터전유진문재인오일러 공식공형진박주아 (아나운서)대한민국의 행정 구역지구 온난화야한(夜限) 사진관명성황후보도연맹 학살 사건잔 베퀴 뒤 바리 백작부인김남진워싱턴 D.C.금성사와이 안나그람 염색🡆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