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 1985년 일본 군마현의 오스타카산에 추락한 항공 사고

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일본어: 日本航空123便墜落事故)는 1985년 8월 12일 일본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을 출발하여 오사카 이타미 국제공항에 도착할 예정이던 일본항공(기종 보잉 747SR-100, 등록번호 JA8119기)이 군마현의 다카마가하라산에 추락한 사고를 말한다.

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

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 사고 경위, 원인, 같이 보기
1984년 하네다 국제공항서 촬영된 사고기

개요
발생일시 1985년 8월 12일
발생유형 꼬리날개 상실로 인한 유압상실
발생원인 정비 불량으로 인한 꼬리날개 탈락
발생장소 일본 군마현 다노군 우에노촌 다카마가하라산
비행 내용
기종 보잉 747-100SR
소속 일본항공
호출부호 JAPAN AIR 123
등록번호 JA8119
출발지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
목적지 오사카 이타미 국제공항
탑승승객 509명
승무원 15명
피해 내용
사망자 520명
부상자 4명
생존자 4명

단일 항공사고로는 사상 최대의 사망자를 낸 사고이다. 일본 운수성(현 국토교통성으로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격임) 항공사고조사위원회의 사고조사보고서에 의하면, 사망자 수는 승무원과 승객을 합쳐 520명에 달하며 단일 항공기 사고로는 인류 역사상 최악의 항공 사고이며 항공기 탑승객 총 사망 순위로는 세계 2위, 아시아 1위의 참사이다.

사고 경위

당시 123편은 18시 정각에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을 이륙, 남서쪽을 향한 후 이즈오지마에서 서쪽으로 순항, 구시모토 상공에서 북서쪽으로 비행하여, 18시 56분에 오사카 국제공항에 도착할 예정이었다. 사고 기체는 보잉 747인 등록번호 JA8119이었다.

18시 4분, 524명을 태운 123편은 원래 출발 시간보다 약간 늦게 하네다 공항 18번 탑승구를 떠나 18시 12분에 16번 활주로에서 이륙했다.

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 사고 경위, 원인, 같이 보기 
123편 경로

18시 24분(이륙으로부터 12분후), 사가미만 상공에서 순항 고도 24000피트(7200 m)를 향해 상승하던 중, 23900 ft를 통과하는 순간 갑작스런 폭발음과 함께 123편의 꼬리날개는 수직 안정판의 하단부만을 남기고 파괴되어 유압계의 총 4계통 모두가 완전히 손실되었다. 유압을 사용하는 엘리베이터(승강타)나 에일러론(보조 날개)의 조종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휴고이드 운동과 더치 롤을 일으키며, 기체는 17분간 20000ft(6000m) 이상으로 비행을 계속한다.

18시 40분 무렵, 하강을 위해 항력장치인 랜딩 기어를 내린 후(비상절차로 작동 시킴), 후지산 동쪽 기슭으로 북상하나, 야마나시현 오츠키시 상공에서 급작스레 오른쪽으로 선회하며 고도 22000피트에서 6000피트로 단번에 15400ft(4600m)를 하강한다. 그 후, 기체는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을 향하는 항로가 지나가는 사이타마현 상공에서 왼쪽으로 선회, 군마현 남서부의 산악 지대로 향하기 시작한다.

조종사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123편은 계속 하강하여 18시 56분 14초에 대지 접근 경보 장치(GPWS)가 작동했다.이때의 위치는 도쿄 북서쪽 65km 산악지대이다.

17초 무렵, 기체는 조금 상승했다. 18시 56분 23초, 기체 후부와 오른쪽 주 날개가 수목과 접촉했다. 이때 기수를 올리기 위해 엔진 출력을 올린 것과 함께 기체가 급강하하면서 속도는 346kt(640km/h)에 도달했다. 이후 기체는 일단 상승했지만, 오른쪽으로 크게 기울어졌다.

26초, 오른쪽 주 날개가 지면과 충돌하고 동시에 기체의 파괴가 시작되었다(수직·수평꼬리, 오른쪽 주 날개의 이탈). 28초에는 기체 후부가 분리. 기체는 기수를 내리면서 우측으로 회전했다. 18시 56분 30초, 123편은 타카마가하라산의 경사면에 반전하는 형태로 추락, 충돌했다.

18시 56분 28초까지 녹음됐던 음성 기록장치에는 23초와 26초 무렵에 충격음이 남아 있다. 23초의 충격음 직전에는, 기장이 「이젠 끝이야!(もうだめだ!)」라는 절박한 고함소리도 녹음되어 있다.

충격에 의해 기체 앞부분부터 주 날개 부근의 객실은 원형을 알 수 없을 만큼 파괴되었다(후의 조사에 의하면 기체의 대부분은 수백 G의 충격이 더해졌다고 한다). 두 날개도 파괴됐다. 한편, 28초 때 분리된 객실 후부와 뒷날개는 산의 능선을 넘어 경사면을 스치고 지나갔다. 객실 후부는 능선과의 충돌을 면하고, 경사면에 평행에 가까운 각도로 착지해 수목을 쓰러뜨리면서 능선의 경사면과 접촉하여 천천히 감속했다. 이 때문에 다른 부위에 비해 충격을 덜 받았다. 또, 화재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 사고로 탑승객 520명은 사망하였다. 그러나 그 외의 사람은 즉사 혹은 거기에 가까운 상황이었다. 그리고 중상을 입은 생존자 중 상당수가 이튿날 아침에 수색대가 도착하기 전 사망했다(생존자들의 말에 따르면 10여명 정도는 추락직후에 생존해 있었다고 한다).

원인

추락한 항공기는 사고 7년 전 1978년 6월 2일 오사카 이타미 국제공항에 착륙 중 테일스트라이크(일본항공 115편 불시착 사고)로 인하여 후미에 손상을 입어 제작사인 보잉에 정비를 요청한 적이 있었다. 벌크 헤드는 비행기의 기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데(알루미늄캔의 바닥을 생각하면 된다). 당시 격벽이 손상을 입었기 때문에 일본항공에서 수리가 불가능할 정도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당시 보잉의 기술자는 이를 수리할 때 2줄의 리벳이 박힌 이중 철판으로 동체와 고정하도록 규정되어 있었지만 이 규정을 무시하고 1줄의 리벳이 박힌 이중 철판만으로 고정을 했다. 그 결과 계속된 비행으로 압력이 변할 때 금속 피로를 이기지 못하고 터져 나가 버리는 바람에 수직 꼬리 날개를 날리면서 방향 타면을 움직이는 동력을 제공하는 유압의 분배기인 토크 박스를 터트려 서서히 유압이 새어 나가면서 조종 능력을 상실한 비행기는 추락하고 만다.

또한 테일스트라이크로 인한 동체의 변형이 수리 후에도 그대로 남아 있어 사고 직전까지 캐빈 뒤쪽의 화장실 문이 잘 닫히지 않는다던지, 바람이 새어 들어오든지 휘파람 소리가 난다던지 등의 결함이 있었다.

이후 테일스트라이크 부분의 정비 부실로 2002년 중화항공에서 여객기가 공중분해된 사건이 일어난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틀:1985년 항공 사고이며 단일 항공기로는 역대최악의 사고

[[분류: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 ] [[분류:보잉 747SR 기종의 추락사고}}

Tags:

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 사고 경위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 원인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 같이 보기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 각주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 외부 링크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

🔥 Trending searches on Wiki 한국어:

괴물 (2006년 영화)대한민국 민법 제1112조가야비비 (대한민국의 가수)김용건밀양 박씨수도방위사령부곽동연카더가든어린이날사이버 폭력정원철 (음악가)포르투갈발해대한민국 헌법 제81조페이스북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백제에탄올앤잭 데이명성황후대한민국 헌법 제10조김도영 (2003년)백윤식고조선칭기즈 칸AFC U-23 아시안컵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아프리카TV박찬대행렬박성훈 (배우)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현미 (가수)강남 (가수)대왕판다KBO 리그 개인 통산 최다 홈런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위도창녕 조씨스마타제4차 산업혁명우연일까?그래핀삼국 시대해바라기경주 김씨시바의 여왕변우석이승엽진 (가수)범죄도시 (영화 시리즈)우즈베키스탄대한항공도쿄도유월절이국종박지원 (1977년)헌법불합치첼시 FC맹자맨체스터 시티 FC양주별산대놀이서울대학교조선족윌리엄 셰익스피어이브이일본어2016년 경주 지진Aespa중국의 역사김석훈한나라MBK 파트너스서안 해양성 기후모세🡆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