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찰 의 예

이 문서는 다른 언어로 읽을 수 없습니다.

(이전 2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향찰의 섬네일
    향찰(鄕札, 중세 한국어: 햐ᇰ자ᇙ〮)은 한자를 이용한 한국어 표기법의 하나다. 주로 신라 향가 표기에 사용했으며 고대 한국어인 신라어를 분석하기 위한 중요한 자료다. 향찰은 한자의 음(소리)과 새김(뜻)을 이용하여 한국어를 적었던 표기법이다. 구결은 한문 해석을 위한...
  • 이두의 섬네일
    ‘이토(吏吐)’라고도 불린다. 신라시대부터 시작하여 19세기 말까지 사용되었다. 고대 한국어를 분석하기 위한 자료의 하나이다. 광의의 이두는 구결, 향찰 등을 포함하여 한자를 빌려 이뤄진 한국어 표기법 전체를 가리킨다. 협의의 이두는 이두문에 나타나는 한국어의 한자 표기를 이른다. 이두문이란...
  • 인명, 이두, 향찰, 구결과 같은 한자 표기된 자료에 한정된다. 한국어가 한자에 의하여 암시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그 어형을 정밀하게 복원하기는 쉽지 않다. 아래에 몇 가지 복원 를 제시한다. 《삼국사기》(권34) 신라 지명 ‘영동군은 원래 길동군이다’ 기술에서 ‘영’과...
  • 한국어 한자의 섬네일
    漢字)라고 부른다. 한국에 도입된 한자는 기본적으로 한문으로서 문어(文語) 역할을 하였으나, 표의 문자인 한자로 한국어를 표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구어(口語) 표기에는 이두, 향찰, 구결 등 차자 표기가 사용되기도 하였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새로운 한자로...
  • 한국 한자음의 섬네일
    한국어의 한자음을 추정하는 실마리가 되는 것이 향찰, 구결, 이두와 같은 차자 표기이며, 다른 하나는 사서에 등장하는 지명및 인명등을 동 시대 중국의 한자음을 통해 재구해 보는 방법이다. 를 들면 『삼국사기』 왕명인 '奈勿王' 이표기가 '那密王'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 중세 한국어의 섬네일
    향찰, 이두 따위의 차자표기 방식이 사용되어 그 음가를 정확히 알기 어려웠다. 하지만 15세기 훈민정음이 발명되어 일반 언중 사이에 널리 쓰이면서 문자 사용 인구가 늘었고, 회화와 문자가 적으나마 일치하게 되었다. 중세 국어의 받침 표기는 종성부용초성(終聲復用初聲)...
  • 한자의 섬네일
    오른쪽으로 쓴다. ) 川, 外, 側 위에서 아래로 쓴다. ) 三, 言, 高 가로획과 세로획이 교차될 때에는 가로획을 먼저 쓴다. ) 十, 古, 支 삐침을 먼저 쓰고 파임을 나중에 쓴다. ) 人, 公, 父 좌우 모양이 같을 때는 가운데를 먼저 쓴다. ) 小, 水, 永...
  • 구결의 섬네일
    구결 ( 문단)
    해결할 수 있다. 이두 향찰 군두목 가타가나 남풍현, 國語史를 위한 口訣硏究 2판(2002), 태학사, ISBN 89-7626-485-1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구결〉 장경준(2008), 點吐口訣 硏究 成果와 當面 課題 다만 한양 PUA 경우, 두 글자의 합자로...
  • 외래어의 어두 ㄹ 소리를 모두 수용하고 있다. 현대 한국어에서 고유어는 기본적으로 한글로 표기된다. 훈민정음 창제 이전에는 이두, 향찰 등을 이용해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고유어를 표기하였다. 한자어의 유입으로, 비슷한 의미를 지닌 고유어와 한자어 사이에 세세한 의미의...
  • 후백제와의 공산성 전투중 전사한 신숭겸과 김낙 두 장군(二將)을 추도(悼)하는 노래(歌)이다. 향찰로 표기된 향가이며 현존하는 향가 중 유일하게 왕이 지은 노래이다. 또한 향찰로 표기된 마지막 작품이기도 하다. 主乙完乎白乎    心聞際天乙及昆 님을 온전케하온   마음은...
  • 당대에 사용되던 음차식 향찰 표기와 상충되는 것이라는 문제도 제기된다. 노리부(세종)이 구형왕의 장남이라는 사실은 《삼국사기》 노종(奴宗)과 《삼국유사》 세종(世宗)으로 교차검증된다. 그런데 필사본 《화랑세기》에서는 김유신의 세계에 노리부(세종) 존재가 누락되어 있다...
  • 일본어 한자의 섬네일
    한자가 있기도 하다. 일본어의 한자 읽는 법은 크게 음독(音読み)과 훈독(訓読み) 두 종류로 나뉜다. 음독(온요미)은 한자를 원 중국어에서 기원한 읽는 법에 따라 읽는 것을 말한다. (: 流星(リュウセイ)) 일본어의 한자 음독은 오음(呉音), 한음(漢音), 당음(唐音)...
  • 한국제 한자의 섬네일
    선문강요(1749)출전 삼국유사 출전 한국제 한자어 국자의 음역자와 구결자 국자의 음역자 이두 향찰 구결 한국어의 한자 일본제 한자 방언자 쯔놈 방괴장자 측천 문자 한국한자어사전 金鍾塤(김종훈), 韓國固有漢字硏究(1992), 집문당 東洋三國 略體字 比較硏究(1992), 국립국어연구원...
  • 문자의 의미에 해당하는 아카드어의 단어를 읽기도움자를 이용하여 훈독하였다. 중국에서 수입된 한자는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하여 이두, 향찰, 구결 등 다양한 표기방식을 탄생시켰다. 이를 통틀어 차자(借字)표기라고 하며, 크게 음차, 훈차, 훈음차의 3종류로 나뉜다. 음차는...
  • 쯔놈의 섬네일
    생기자 한자를 베트남어 음운에 맞게 고쳐 만든 쯔놈을 이용해서 19세기까지 베트남어를 나타내는데 사용하였다. 쯔놈은 한국의 이두, 향찰과 비슷하게 음과 훈을 모두 사용하고, 추가로 형성 원리에 따라 기존한자로 나타낼 수 없는 베트남 고유어를 표기하기 위해 새로운 글자를...
  • 취음 ( 문단)
    곁꾼 → 格軍 가시나 → 假僧兒 차꼬 → 錯固 수고 → 受苦 이두 향찰 구결 동언고략 민간어원 아테지 이득춘에 의한 명칭 삼국사기에서 신라의 국호를 '德業日新 網羅四方'에서 따온 것인 양 풀이한 것이 그 이다. 사로(斯盧), 사라(斯羅), 서야(徐耶), 서나(徐那) 등...
  • 고려의 문학(高麗文學)은 대체로 지배층의 한문학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그 밖의 문학은 향찰이 쇠퇴하면서 이전 시대보다 흥성하지는 않았다. 고려 시대는 화려한 한문학(漢文學) 전성기였다. 최치원으로부터 열린 한국의 한문학이 고려의 전 기간을 석권하고 조선조에 그 결과를...
  • 한자차자표기인 이두, 향찰 등에서도 이러한 읽기도움자에 해당하는 것이 보인다. 향찰의 夜音이라는 표기의 경우, 夜라는 단독표기만으로는 '야'라는 한자음으로 읽을 수 있기 때문에, 音이라는 글자를 붙여 고유어 "밤"으로 읽어야 함을 나타냈다. 향찰표기에 쓰이는 이것은 받쳐적기...
  • 신자체의 섬네일
    도서관인 ‘芸亭(うんてい)’ 표기 문제가 있다.일본사나 도서관학 등의 자료에서는 芸亭 초두 ‘艹’를 4획 초두 ‘⺿(++와 유사한 모양)’로 처리해 구별하는 경우가 많다. 단, 이것은 한자 본래의 구별이 아니고, 芸()와 芸(운) 자형은 본래 완전히 같기 때문에...
  • 글과 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풍랑가 필사본 《화랑세기》에는 향가가 한 수 기록되어 있는데, 진서론자들은 아마추어 역사가인 박창화가 향찰로 향가를 창작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여겨 진서론의 근거로 사용한다. 하지만 이는 학자들마다 의견이 분분하여 위서론자들까지 위서론의...
(이전 2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Trending searches on Wiki 한국어:

나의 해방일지이온아시아방준혁광해군네이버 블로그한국의 성씨지구김용건박보검피라밍크스 크리스탈홍익표 (1967년)Aespa박보영마제소바조지 버나드 쇼민희진진수희애스턴 마틴 DB11범죄도시2에이핑크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69 (체위)노자하희라벤저민 프랭클린빅 데이터경기도공자박재범박혜신중동아르곤아이스브레이크KBO 리그 영구 결번 목록푸바오네온김상순 (배우)이다해창덕궁프랑스노태우수사반장로베르토 두란일본어경찰 계급손웅정서윤아안중근아인슈페너자위행위비비 (대한민국의 가수)골든위크홍콩아일릿2024년경상북도탄소이수만AFC U-23 아시안컵하이브 레이블즈 재팬영국캐나다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하판락유영재조광조커넥션 (드라마)레오나르도 다 빈치김누리김대중하연주노경주서예지사이버 폭력SOLID (객체 지향 설계)피보나치 수국민의힘🡆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