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찰

이 문서는 다른 언어로 읽을 수 없습니다.

위키백과에 제목이 "향찰"인 문서가 있습니다.

(이전 2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향찰의 섬네일
    향찰(鄕札, 중세 한국어: 햐ᇰ자ᇙ〮)은 한자를 이용한 한국어 표기법의 하나다. 주로 신라 향가 표기에 사용했으며 고대 한국어인 신라어를 분석하기 위한 중요한 자료다. 향찰은 한자의 음(소리)과 새김(뜻)을 이용하여 한국어를 적었던 표기법이다. 구결은 한문 해석을 위한...
  • 신라어의 섬네일
    고대 한반도에서 쓰이던 언어들 가운데 가장 많은 자료가 잔존하나 실상을 알기에는 부족하다. 역사서에 나타난 지명과 인명 외에도 이두, 향찰, 구결 등 한자로 표기된 글들이 남아있다. 고대한국어 한국어족 고구려어 백제어 “新羅語 The language of Silla”. Chinese...
  • 이두의 섬네일
    ‘이토(吏吐)’라고도 불린다. 신라시대부터 시작하여 19세기 말까지 사용되었다. 고대 한국어를 분석하기 위한 자료의 하나이다. 광의의 이두는 구결, 향찰 등을 포함하여 한자를 빌려 이뤄진 한국어 표기법 전체를 가리킨다. 협의의 이두는 이두문에 나타나는 한국어의 한자 표기를 이른다. 이두문이란...
  • 지역에서 읽을 때, 해당 한자가 전래되어온 시기와, 전래된 중국의 지역의 음에 따라 변천되어 왔다. 한국어에서의 한자의 음독은, 과거 향찰, 구결, 이두 등의 차자 표기와 동시대의 중국 문건의 한자음의 비교를 위한 간접적인 추측이 가능하나, 실질적으로는 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 고대 한국어의 마지막은 1274년이라고 할 수 있으나, 한국조어에서 언제 분리되었는지는 알기 어렵다. 고대 한국어는 한자와 이두, 향찰, 금석문, 지명 자료를 통한 문헌적 연구방법과 고대 일본어로 차용된 어휘를 분석하는 계통학적 연구방법이 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 설총의 섬네일
    가르쳤다. 설총은 고대 한국어를 한문으로 표현한 첫 문자 체계이두와 구결 문자를 규정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그때까지 존재하던 향찰을 집대성하였으며, 《육경》을 읽고 새기는 방법을 개발하여 한문을 국어화하고 유학 연구를 쉽게 그리고 빨리 발전시키는 데에 공이 컸다...
  • 외국문자인 한자를 빌어 표기할 수 있는 표기체계(表記體系)를 완성하고 그것을 실용하였다는 노력에 힘입었다 하겠다. 이 표기체계가 곧 향찰(鄕札) 또는 이두(吏讀)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차자문자(借字文字)이다. 따라서 우리는 국문학사에서 향가문학을 흔히 차자문학이라고도 일컫는다...
  • 한국어 한자의 섬네일
    한문으로서 문어(文語)의 역할을 하였으나, 표의 문자인 한자로 한국어를 표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구어(口語) 표기에는 이두, 향찰, 구결 등 차자 표기가 사용되기도 하였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새로운 한자로 정착되거나, 새로운 뜻과 음이 더해진 것 등 한국 고유...
  • 받아 각간 벼슬에 있던 위홍과 승려 대구화상이 향가집 편찬에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 《삼대목》이라는 제목에 대해서는 이것 자체를 향찰식 표기로 보아, 세[三] 뉘(‘세상’이라는 뜻)[代] 목, 또는 “사뇌목”이라 읽는 견해와(이외에도 여러 풀이가 있음), 삼대목의 삼대가...
  • 구결의 섬네일
    올바른 풀이, 문법 구조를 나타내고자 각 구절마다 한국어 토를 다는 데 쓰였다. 기록할 때 한자나 한자를 줄임꼴로 만들어 사용하였고, 향찰과 서로 상승 작용을 하여 함께 발달하였다. 구결은 한문을 국어화하는 준비 과정에서 등장한 표기 수단으로 볼 수 있으며, 불과 20-30자의...
  • 차자 표기법(借字表記法)은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한국어를 기록하던 표기법을 말한다. 한자차용표기법이라고도 한다. 이는 향찰(鄕札)·이두(吏讀)·구결(口訣)·군두목(軍都目) 등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 임신서기석의 섬네일
    시경(詩經)·상서(尙書)·예기(禮記)·춘추전(春秋傳)을 차례로 3년 동안 습득하기로 맹세하였다. 한자·한문을 받아들여 한국어의 표기수단으로 삼을 때 향찰식(鄕札式) 표기, 한문식(漢文式) 표기 외에 훈석식(訓釋式) 표기가 실제로 있었다는 것을 증거해 주는 유일한 금석문 유물로 세속 5계 중의‘교우이신(交友以信)’...
  • 외래어의 어두 ㄹ 소리를 모두 수용하고 있다. 현대 한국어에서 고유어는 기본적으로 한글로 표기된다. 훈민정음 창제 이전에는 이두, 향찰 등을 이용해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고유어를 표기하였다. 한자어의 유입으로, 비슷한 의미를 지닌 고유어와 한자어 사이에 세세한 의미의...
  • 향가(鄕歌, 문화어: 사뇌가)는 신라 때에 불리던 민간 노래로서 보통 향찰로 기록되었다. 보통 신라 때부터 고려 초기까지의 것을 말한다. 승려, 화랑을 포함한 다양한 작자층에 의해 불교적 기원, 정치적 이념, 민요 또는 주술적 성격이 내용을 담은 작품들. 향가의 구조적...
  • 중세 한국어의 섬네일
    겪어 새로운 근대 한국어의 시기로 넘어가게 된다. 중세 국어 시기에는 표기법상 큰 변화가 일어났다. 이전 시기 국어 표기에는 주로 향찰, 이두 따위의 차자표기 방식이 사용되어 그 음가를 정확히 알기 어려웠다. 하지만 15세기 훈민정음이 발명되어 일반 언중 사이에 널리...
  • 시 (문학)의 섬네일
    구체적으로 시작품을 성립시키는 각 시구를 가리킨다. 기록상으로 남아 있는 한국의 시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한글이 반포되기 전의 한국어시는 향찰이나 이두로 기록되었다. 향가 고려 가요 시조 - 3.4.3.4 / 3.4.3.4 / 3.5.4.3으로 진행되는 한국어 시이다. 한시...
  • 후백제와의 공산성 전투중 전사한 신숭겸과 김낙 두 장군(二將)을 추도(悼)하는 노래(歌)이다. 향찰로 표기된 향가이며 현존하는 향가 중 유일하게 왕이 지은 노래이다. 또한 향찰로 표기된 마지막 작품이기도 하다. 主乙完乎白乎    心聞際天乙及昆 님을 온전케하온   마음은...
  • 이적(異蹟)에 대한 10편의 설화를 싣고, 효선(孝善)에서는 뛰어나게 효행을 한 5사람의 이야기를 수록했다. 특히 단군신화를 비롯하여 향찰문(鄕札文)으로 쓰인 향가 14수가 수록되어 있어 국어국문학 연구에 귀중한 문헌이 되어 준다. 현재 고려시대의 각본(刻本)은 보이지 않고...
  • <보현십종원왕가(普賢十種願往歌)>. 고려 초기의 고승 균여대사가 지은 향가 11수.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십종원왕(十種願往)에 의해 지은 작품. 노래는 모두 향찰로 적혀 있으며, 형식은 10구체, 원래 '보현'의 원명 범음(梵音)은 삼만다발타라(三曼多跋陀羅, Samantabhadra)이며, '보'는...
  • 못하고 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가 서로 교차검증되는 사실이 《화랑세기》에만 다르게 기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노리부는 곧 세종의 향찰 표기로 같은 인물의 같은 이름을 다르게 표기한 것이며,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 교차검증된다. 그런데 필사본 《화랑세기》에서는...
(이전 2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Trending searches on Wiki 한국어:

김건희넷플릭스대구광역시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유영재 (1994년)원더풀 월드러브버그 (곤충)양자역학신짱구6월 민주 항쟁박재욱이병헌제4차 산업혁명2024년 AFC U-23 아시안컵KS X 1001의 특수 문자테일러 스위프트 마스터링 논란나 혼자만 레벨업파스칼 (단위)김녕 김씨유관순MBTI여자친구 (음악 그룹)대한민국의 행정 구역커닐링구스명재용호모 사피엔스신사임당시마즈 요시히로배혜지일루미나티위도이부진기승위첼시 FC벤저민 프랭클린골든위크원빈흥선대원군이복현도쿄도구랑리역카카오엔터테인먼트베트남 전쟁이상원 (배우)인스타그램남성훈구강성교수원시만삭 의사 부인 사망 사건더스틴 니퍼트스티브 잡스주상절리박원숙삼성전자창덕궁박수현 (1964년)수사반장그랑드자트섬의 일요일 오후소크라테스4월 27일FIFA 월드컵알베르트 아인슈타인홍익표 (1967년)최후의 만찬 (레오나르도 다 빈치)명성황후박나래네이버의 서비스EaJ레이온부처님 오신 날장재현수학 기호ASCII민희진사물인터넷도 (각도)🡆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