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 저서

이 문서는 다른 언어로 읽을 수 없습니다.

(이전 2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정약용의 섬네일
    정약용(丁若鏞, 1762년 ~ 183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저술가·시인·철학자이다. 본관은 나주, 아명은 귀농(歸農), 자는 수시(美庸), 호는 다산(茶山)·사암(俟菴)·탁옹(籜翁)·태수(苔叟)·자하도인(紫霞道人)·철마산인(鐵馬山人)·문암일인(門巖逸人)...
  • 강진 정약용 유적의 섬네일
    강진 정약용 유적(康津 丁若鏞 遺蹟)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실학자 정약용이 18년 동안 유배 생활을 하던 곳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107호로 지정되었다. 다산초당(多山草堂)이라고도 하는데 원래 이 곳이 초가...
  • 흠흠신서 (분류 정약용)
    흠흠신서(欽欽新書)는 다산 정약용 선생이 1822년에 저술한 책으로서 모두 30권 10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 시대의 형법을 다룬 서적이다. 이 저서는 원래 중국 원나라 저서 《무원록(無冤錄)》과 중국 명나라 저서 《대명률(大明律)》 이 두 저서(둘 모두 원래 중국 저서)를 조선(朝鮮)...
  • 목민심서의 섬네일
    목민심서 (분류 정약용)
    《목민심서》(牧民心書)는 1818년(순조 18년)에 정약용이 지방관을 비롯한 관리의 올바른 마음가짐 및 몸가짐에 대해 기록한 행정지침서로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권 16~29에 수록된 책이다. 크기가 가로 15.0cm, 세로 22.0cm의 서책으로 1818년에 처음...
  • 성호 학파를 형성하였다. 그는 자영농 육성을 위한 토지제도 개혁론으로 한전론을 주장하고, 저서 《성호사설》를 통해 나라를 좀먹는 여섯 가지의 폐단을 지적하기도 하였다. 정약용: 토지를 공동 소유하고 이를 공동경작, 공동 분배하자는 여전론을 주장하였다. 18세기 후반...
  • 역경 (정약용 문단)
    예컨대 주역을 상나라의 역사로 보는 방법, 주역은 점쟁이의 공리공론에 불과하다는 입장 등 다양한 방법이 제기된다. 다산 정약용은 본인의 저서 주역사전(周易四箋)에서 기호학적이라고 할만한 해석법을 제시한바있다. 예를 들어 역경(易經)의 상경(上輕) 30괘와 하경(下經)...
  •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2>김영사 2004년 p86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2>김영사 2004년 p86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15> 한길사 2009.4.10 p204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2>김영사 2004년 p119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 정약용, 이치훈등이 있다며 이들을 다시 체포해 심문하라고 주청했다. 이에 따라 정약용과 정약전은 각각 유배지인 장기와 신지도에서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당했다. 황서영은 정약용 형제의 조카사위였기 때문에 사태는 심각했다. 노론 벽파의 홍낙안등은 "천 사람을 죽여도 정약용...
  • 활동(993년 안융진전투 때 중랑장으로 참전) 시기를 보면 60년의 차이가 나므로 부자간이 아니라 조손간으로 보는 게 합리적이다. 정약용저서 발해속고(渤海續考)에서 대광현은 대인선의 세자가 아니고 발해국 멸망 후 유민과 함께 약 10년간 항거하다가 소식이 끊긴 그의 아우일...
  • 경기 양주 앵자산에 있는 주어사와 천진암을 오가며 개최한 강습회에는 이벽, 정약용, 정약진, 권일신, 이가환, 이기양, 이승훈 등 남인계열 실학자들이 참여하였다. 이들은 마테오 리치의 저서 《천주실의》를 비롯한 천주학 서적을 학습하며 천주(天主)의 존재, 인생의 기본문제...
  • 정약전 (분류 정약용)
    생물학자이다. 본관은 나주, 자는 천전(天全), 호는 손암(巽庵), 일성(一星), 매심(每心)이다. 정약현(丁若鉉)의 동생이며, 정약종, 정약용의 형이다. 흑산도 연해의 어류 생태계를 연구, 기록한 실학서 《자산어보》의 저자이다. 1758년(영조 34년) 음력 3월 1일, 경기도...
  • 정약종 (분류 정약용)
    나주, 세례명은 아우구스티노이다. 1795년 이승훈과 함께 중국인 선교사 주문모를 맞아들이고 한국 최초의 조선천주교 회장을 지냈다. 정약용의 셋째 형으로 형제중 가장 늦게 천주교인이 되었으나 탄압과 박해에도 불구하고 흔들리지 않는 신앙을 유지하다가 신유박해 때 서소문 밖에서...
  • 고증학(考證學)과 서양 문물 등에 대한 지식을 얻어 공헌할 수 있는 학문인 실학(實學)이 일어났는데, 유형원(柳馨遠)·이익(李瀷)·정약용(丁若鏞) 등, 이 방면에 뛰어난 학자들이 나와 새로운 학풍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들도 주자학의 테두리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 채제공의 섬네일
    채제공 (저서 문단)
    1월 18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다. 영조 후반 시대와 정조 시대 남인의 영수로 정조의 최측근 인사 중의 한사람이며, 정약용, 이가환 등의 정치적 후견자였다. 강박과 오광운의 문인이며 사도세자를 가르친 스승이자 세자궁의 측근신하의 한 사람이었다. 본관은 평강...
  • 14일)는 조선 후기의 역관, 조선 최초의 천주교도이자 천주교 박해의 희생자다. 세례명은 '토마스'로, 1785년 이벽 ·이승훈 ·정약용 등 남인 학자들이 그의 집에 모여 예배를 보고 교리 공부를 하다가 발각된 명례방 사건으로 형벌을 받고 밀양에서 유배생활을 하다가 사망하였다...
  • 《성학십도·동국십팔선정》 《시원하게 나를 죽여라》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2009-09》 《정조와 철인정치의 시대 1,2권》 《정약용 선생님 다산 천자문 1,2,3권》 《근대를 말하다》. Wisdomhouse, 2012년. ISBN 978-8-9931-1942-8...
  • 주역심전 (분류 정약용)
    주역심전(周易心箋) 또는 주역사전(周易四箋)은 정약용이 집필한 주역 해설서이다. 정약용은 생전에 주역사전(周易四箋)으로 표기한 책명을 최종적으로 주역심전(周易心箋)으로 정한바있다. 주역사전(周易四箋)은 첫 번째 갑자본(甲子 本 8권)1804년, 두 번째 을축본(乙丑本 8권)1805년...
  • 이번 사건으로 정약용의 집안은 큰 충격에 휩싸였다. 윤지충이 정약용의 외사촌이었기 때문이다. 정약용과 둘째형 정약전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배교하며 천주교와 관계를 완전히 청산했으나 윤지충과 친척이라는 사실과 윤지충에게 천주교를 소개한 자가 정약용이었기 때문에 서인들로부터...
  • 유득공 (저서 문단)
    국가임을 기록하여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임을 주장하였다. 그의 연구는 발해사에 대한 초기 연구의 하나이며 그의 역사 인식은 나중에 정약용(丁若鏞), 한치윤(韓致奫) 등의 연구 업적이 나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유득공의 가계는 서얼이었다. 그의 증조할아버지...
  • 진출하게 되면서 왕명으로 그의 저서들이 재간행되기도 했다. 그의 제자들 중 한 명인 순암 안정복은 1772년부터 세손시강원에 근무하며 왕세손이던 정조를 가르쳤다. 그러나 1801년 정조 사후 그의 학파에서 배출된 이가환, 권철신, 정약용 일가 등이 서학도로 몰려 숙청되어...
(이전 2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Trending searches on Wiki 한국어:

물리학마침표루트비히 판 베토벤티모시 샬라메헥세인7인의 탈출의 등장 인물이범호광명진언연합국 (제2차 세계 대전)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 목록푸에르토리코FC2진서연아세톤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배분 방법김유신특례시 (대한민국)포스파티딜세린상하이시아세트아미노펜NewJeans아르키메데스인도네시아대한민국의 인구순 성씨 목록신행정수도법 위헌 확인 결정항문 성교전지희제윤경국민방송빌 게이츠밀양 박씨인간의 성행위인요한원주율UEFA 유로 2024발해트리고니아과춘향뎐궤도 (과학자)진 시황제도 (각도)황정음탁영준사주팔자아이오딘화 칼륨딥 러닝최후의 만찬 (레오나르도 다 빈치)한아름 (1994년)아리스토텔레스뉴턴 (단위)손석구정지현 (레슬링 선수)강별플러스마이너스동유럽앙코르 와트국회방송피라미드정미조대한민국 국가정보원심신광해군뉴욕유니스 (음악 그룹)DNA삼체 (영화)ChatGPT용인시 정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나경원원색아르곤댓글부대 (영화)유니스수도군단안귀령🡆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