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소원심판

헌법소원심판(憲法訴願審判, 독일어: Verfassungsbeschwerde, 영어: constitutional complaint)은 공권력의 행사 또는 불행사(不行使)로 인하여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을 침해받은 당사자가 법률에 의하여 더는 권리를 구제할 수 없을 때 헌법재판소에 청구하는 헌법에 의한 최후적인 권리구제 절차이다. 이와 관련하여 그동안 헌법재판소는 법률에 의한 구제 절차가 없을 때 할 수 있는 헌법소원 사건에서 "권리구제의 이익이 없다"는 이유로 각하 결정을 하기도 했으나 2018년 물대포 위헌 사건에서 앞서 "물대포를 사용한 집회가 종료되었다는 이유로 기본권 침해가 종료되었다"며 "권리구제의 이익이 없다"는 이유로 각하 결정한 것을 뒤집고 위헌 결정을 했다.

헌법소원심판

요건

  • 공권력 행사나 불행사에 의한 기본권 침해의사유가 있음을 안 날부터 90일 이내에, 그 사유가 있는 날부터 1년 이내에 청구하여야 한다.
  • 다른 법률에 따른 구제절차를 거친 헌법소원의 심판은 그 최종결정을 통지받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청구하여야 한다. 위헌법률심판제청 신청사건이 기각된 때도 30일 이내로 한다.
  • 심판절차에서 당사자인 사인(私人)은 변호사를 대리인으로 선임하지 아니하면 심판청구를 하거나 심판 수행을 하지 못한다. 다만, 그가 변호사의 자격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그 밖에 헌법소원심판의 청구가 부적법하고 그 흠결을 보정할 수 없는 경우

판례

  • 국회의장이 국회의원들에게 토론권을 인정하지 아니하고 법률안을 처리하였더라도 국회의원들은 이를 이유로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할 수 없다.
  • 공권력 작용의 직접적인 상대방이 아닌 제3자라고 하더라도 공권력이 그 제3자의 기본권을 직접적이고 법적으로 침해하는 경우에는 그 제3자에게 자기관련성이 인정된다.
  • 법령에 의한 기본권침해의 경우, 원칙적으로 자신의 기본권을 침해당한 자만 헌법소원을 제기할 수 있으나, 법규범의 목적 및 실질적인 규율대상, 법규범에서의 제한이나 금지, 제3자에 미치는 효과나 진지성의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법령의 직접적인 수규자가 아닌 제3자에게도 기본권침해의 자기관련성을 예외적으로 인정할 수 있다.
  • 단체의 구성원이 기본권을 침해당한 경우 단체가 구성원의 권리구제를 위하여 또는 그를 대신하여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아니한다.
  • 수혜적 법률의 경우에는 수혜범위에서 제외된 자가 그 법률에 의하여 평등권이 침해되었다고 주장하는 당사자에 해당되고, 당해 법률에 대한 위헌 또는 헌법불합치 결정에 따라 수혜집단과의 관계에서 평등권침해상태가 회복될 가능성이 있다면 기본권 침해성이 인정된다.

각주

Tags:

🔥 Trending searches on Wiki 한국어:

나의 해방일지도영이미숙종교 개혁프리미어리그박영규 (배우)지현우김호중 (음악가)군사력 지수국민의힘반감기프랑스팔레스타인AV 여배우김새론캐나다박군김무열나영희고양이그리스-페르시아 전쟁아랍에미리트김영삼퍼스트 캐나디안 플레이스김대중쿵푸 팬더신세경배우카더가든이재명멱살 한번 잡힙시다1958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수도방위사령부선감도 (드라마)기독교최경용마침표김영임이란김수지 (아나운서)코드 쿤스트아카라이브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조슈아 트리 (1993년 영화)쿠팡일본 이름2023년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목록넬리 코다전혜원아브라함G7김광석파묘벽계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줄 (단위)정윤희정국 (가수)불후의 명곡의 에피소드 목록박찬홍임미애마리 퀴리KS X 1001의 특수 문자카자흐스탄손흥민인간의 성행위포스파티딜세린김구라진린박원숙세로토닌4·19 혁명오멘홋카이도김주나김사윤페기 구인공지능🡆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