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증명: 수학적 진술에 대한 추론

수학에서 증명(證明, 영어: proof)은 특정한 공리들을 가정하고, 그 가정 하에서 어떤 명제가 참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을 가리킨다. 특정한 공리는 별다른 언급이 없으면 선택 공리를 추가한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으로 가정한다.

증명은 논리를 통해 이루어져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자연어를 포함하게 되며, 따라서 애매한 부분을 포함하기도 한다. 실제로 수학에서 대부분의 증명은 비형식 논리를 통해 이루어진다. 순수 형식논리를 통한 증명은 증명이론에서 다룬다. 형식적인 증명과 비형식적인 증명 사이의 구별은 형식주의에 철저히 입각해 있건 그렇지 않건, 참이라는 것이 밝혀진 명제는 정리라고 한다. 정리는 그 정의로서 참이라고 밝혀졌기에 다른 명제를 증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증명 기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직접 증명: 공리와 정의, 그리고 이미 증명된 정리를 논리적으로 직접 연결하여 증명한다.(연역적)
  • 수학적 귀납법: 바탕 명제(base case)가 참일 때, 귀납 규칙(induction rule)을 증명하여 무한히 많은 다른 명제들도 참이라는 것을 보인다. (귀납적)
  • 예제를 통한 증명(proof by construction): 어떤 성질을 만족하는 구체적인 예제를 하나 만들어 그 성질을 만족하는 어떤 것이 실제로 존재함을 증명한다.
  • 귀류법(reductio ad absurdum): 어떤 명제가 거짓이라고 가정하면 모순이 발생한다는 것을 증명하면, 그 명제가 참이어야 함을 알 수 있다.
  • 반례

확률적 증명은 확률론적 방법을 동원해 어떤 예제가 존재함을 보이는 것이다. 이것은 어떤 명제가 참이라는 것을 '확률적'으로 보이는 것과 전혀 다르며, 명제가 참일 확률을 계산하는 것과 실제로 그것을 증명하는 것은 거리가 멀다는 것을 콜라츠 추측을 통해 알 수 있다.

조합론적 증명은 두 개의 서로 다른 식이 같은 값이라는 것을 보일 때 두 식이 같은 물체의 개수를 다른 방식으로 세는 것임을 증명한다.

참일 것으로 추정하지만 아직 참이라는 것이 밝혀지지 않은 명제는 추측이라고 한다.

때로는 주어진 공리계에서 어떤 명제를 증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밝혀지는 경우도 있다. 연속체 가설이 그 예이다. 대부분의 공리계에는 증명도 반증도 불가능한 명제가 존재한다. 더 자세한 설명은 불완전성 정리를 참고

Tags:

🔥 Trending searches on Wiki 한국어:

보지열역학 제1법칙알칼리 금속대한민국의 국회의장NC 다이노스맨체스터 시티 FC4월 18일가족주상절리박종철아시아박영규 (배우)조미미엄앵란OECD 회원국 자살률 목록아우구스투스구자욱박근혜호랑이사람정경심원균튀르키예LG 트윈스김정은피도 눈물도 없이 (드라마)클레오파트라러시아전용기강감찬유영재 (1963년)르네상스박정희마제소바플러팅백석삼성그룹파이썬카우아이오오원종례음핵윤기중대동맥 박리7인의 탈출의 등장 인물이재용보어 모형아스피린텍사스주엄창록밀도이산화 탄소대한민국의 국무총리가야김부겸브루나이진린조항리 (아나운서)조국 사태도쿠가와 이에야스온실 기체자유이적등자룡한채아전민기일본의 행정 구역구글의 이스터 에그 목록배현진한국의 역사첼시 FC중화민국커닐링구스수성사와이 안나불국사비례대표제미국의 대통령 목록율리우스 카이사르중화인민공화국🡆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