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도니아어: 북마케도니아에서 사용하는 언어

마케도니아어(македонски [maˈkɛdɔnski])는 북마케도니아공용어이다. 슬라브어파남슬라브어군동부 남슬라브어군에 속한다. 같은 동부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불가리아어와 가까운 관계에 있다. 고대 교회 슬라브어에서 분화되어 11세기 이래 문헌이 보이기도 하나, 불가리아어와 달리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지 못했고 불가리아어의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했다. 20세기유고슬라비아의 마케도니아가 형성되면서 독자적인 언어로 성립되고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공용어 중 하나로 지정되면서 발전하였다. 유고슬라비아어의 공용어 중 서부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세르보크로아트어, 슬로베니아어와 다른 동부 남슬라브어군에 속하여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유고슬라비아 시절, 유고슬라비아의 언어로 독자적인 마케도니아어에 의한 출판이 활성화되는 등 발전을 이루었고, 1991년 독립하면서 그대로 북마케도니아의 공용어가 되었다.

마케도니아어
македонски јазик
македонски
사용 국가 북마케도니아, 알바니아, 불가리아, 그리스, 세르비아
사용 지역 발칸반도
언어 인구 약 2백만 명
순위 ?
문자 키릴 문자
언어 계통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남슬라브어군
   동부 남슬라브어군
    마케도니아어
공용어 및 표준
공용어로 쓰는 나라 북마케도니아의 기 북마케도니아
표준 마케도니아어 과학 아카데미 "크르스테 미시르코프" (Институт за македонски јазик „Крсте Мисирков“)
언어 부호
ISO 639-1 mk
ISO 639-2 mac (B)
mkd (T)
ISO 639-3 mkd 마케도니아어

문자는 키릴 문자(러시아&불가리아문자)를 사용하며, 문법적으로는 불가리아어와 마찬가지로 명사의 격변화가 소실되어 고립어적인 특징을 보인다. 유고슬라비아 붕괴 후 이 언어는 정치적으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불가리아에서는 독자적인 마케도니아어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 불가리아어의 한 방언으로 간주하며, 그리스에서는 마케도니아는 그리스의 한 지역이므로 이 언어를 슬라브마케도니아어로 불러야 한다고 주장한다. 현재 마케도니아어는 북마케도니아 본국에 200만명 가량이 사용하며, 주변의 알바니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그리스에도 소수 사용자가 있으며, 마케도니아인의 해외 이주로 독일, 미국, 캐나다 등지에서도 사용자수가 늘고 있다.

마케도니아어 알파벳

키릴 문자
IPA
А а
/a/
Б б
/b/
В в
/v/
Г г
/ɡ/
Ѓ ѓ
/ɟ/
Д д
/d/
Е е
/ɛ/
Ж ж
/ʒ/
З з
/z/
Ѕ ѕ
/ʣ/
И и
/i/

Ј ј
/j/

키릴 문자
IPA
К к
/k/
Ќ ќ
/c/
Л л
/l/
Љ љ
/ʎ/
М м
/m/
Н н
/n/
Њ њ
/ɲ/
О о
/ɔ/
П п
/p/
Р р
/r/
С с
/s/
Т т
/t/
키릴 문자
IPA
У у
/u/
Ф ф
/f/
Х х
/x/
Ц ц
/ʦ/
Ч ч
/ʧ/
Џ џ
/ʤ/
Ш ш
/ʃ/

외부 링크

Tags:

🔥 Trending searches on Wiki 한국어:

을미사변메멘토 모리최민수사과나무염산고려-거란 전쟁수덕사김창완카와키타 사이카의 작품 목록남인순세종망해사필리핀박주호이란-이스라엘 대리 분쟁자위행위채상병클레오파트라김한길이탈리아우크라이나OECD 회원국 자살률 목록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예정화진로골드유럽벚꽃산화·환원 반응고구려최중락각기병김건희음양오행설성균관대학교수원시필기체안재현애스턴 빌라 FCKBO 리그 영구 결번 목록조배숙김유신도요토미 히데요시사이판섬대한민국의 대통령이민호 (1970년)영국레만호대한민국 국민의 무비자입국 가능국가베이스볼5윤봉길송하윤오스트레일리아전지현이정미 (정치인)1박 2일자유이적서윤아린 (가수)진형구안드레 진오세훈대한민국의 국보 (제1호 ~ 제100호)바이어 04 레버쿠젠이낙연4월 15일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나영희루트비히 판 베토벤김호령에펨코리아배우푸리에 변환이순신이재용팔레스타인음핵이두일박보영🡆 More